현미 중금속 오해와 진실, 현미밥을 지을 때 꼭 이렇게 하세요.

현미 중금속 비소

현미 중금속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미는 매우 우리 몸에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또 좋지 않은 점도 있다고 하는데요. 그 중 하나가 현미가 가지고 있는 중금속을 들 수 있습니다. 현미에는 사약에 사용된 성분인 비소가 들어있는데요. 물론 미량의 비소가 함유되어 있지만 이것을 꾸준히 드시면 비소가 몸에 쌓이게 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비소를 제거하고 드시는 것이 좋은데요. 오늘은 현미에 있는 비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미에 들어 있는 중금속 비소

여러 가지 곡류 중에서 현미에 비소 함량이 가장 높습니다. 토양에 비소가 많으면 쌀이 비소를 축적합니다.

현미 중금속

비소가 왜 나쁜가?

비소는 주기율 표에 보면 5A에 속합니다. 기호로는 As를 사용합니다. 같은 그룹에 속해있는 원소들은 대부분 화학적인 성질이 비슷합니다. 비소 바로 위에 인(P)가 있습니다. 인은 우리 몸에 굉장히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현미 비소 as

생화학적 에너지를 담고 있는 ATP 에도 인이 3개나 붙어 있습니다. ATP는 에너지 화폐라고 할 수 있습니다

※ ATP

아데노신 3인산이라고 하고 아데닌에 인산기가 3개 붙어있는 구조를 뜻합니다.

인체에서 ATP를 만들기 위해서는 밥을 먹으면 되는데, 밥을 먹으면 밥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포도당이 나옵니다. 포도당이 해당과정을 통해 피루브산으로 전환 됩니다.

태양에서 온 빛 에너지 광자가 포도당에 저장되어 있는데 포도당을 분해되면 여러 과정을 거쳐 에너지가 나옵니다.  ATP가 만들어 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산소를 사용하게 됩니다.

atp 구조

산소가 없으면 사망합니다. 산소가 없으면 ATP가 빨리 없어지게 되고 ATP가 생산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망하게 됩니다. 에너지가 없으면 생명을 유지할 수 가 없기 때문입니다.

비산염(무기비소)은 인산염과 굉장히 화학적 구조가 서로 닮아 있습니다.

비산염 인산염

서로 닮아 있기 때문에 비산염을 인산염으로 오인하게 됩니다. 비산염은 우리 몸에 들어가게 되면 잘 배출되지 않습니다. ATP를 생산하지 못하여 세포가 질식하여 죽게 됩니다.

따라서 비소가 우리 몸에 들어가면 사약을 마신 것과 같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사이클이 망가져 세포가 질식해 죽게 되는 것입니다. (실제 사약도 비소)

사약 비소

비소가 이렇게 우리 몸에 좋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소가 우리 몸에 쌓이면 안 되는데, 쌀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비소가 몸에 쌓이게 됩니다.

비소가 몸에 쌓이면

  • 면역기능을 공격해서 바이러스에 취약해 지는 체질이 됩니다.
  • 암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폐암, 방광암, 피부암)
  • 당뇨병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미 부작용

록사르손(roxarsone)

비소 성분이 들어 있는 호르몬 물질

2011년도에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2011년도 이전에는 닭에게 주입하게 되면 닭, 돼지 같은 가축이 굉장히 살이 잘 찌게 됩니다. 따라서 닭, 돼지 등을 사육하는 농장에서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문제는 록사르손을 사용하게 되면 동물에게는 큰 해가 없지만 무기비소가 방출되어 비소 함량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그래서 FDA에서 금지시켰습니다.

현미 록사르손

비소함량이 낮은 쌀 고르기

캘리포니아쌀(바스마티), 퀴노아쌀은 비소 함량이 낮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생산되는 쌀은 비소 관련 규제가 엄격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가장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비소 함량이 낮은 쌀

Philip Landrigan 박사의 연구 결과를 보면 절대로 사지 말아야 할 쌀이 있는데,

텍사스, 루이지애나 등 걸프만 연안에 근접한 주에서 생산되는 쌀입니다. 이 근처에는 예전에 목화밭이 많았는데 목화밭에 농약을 사용했는데 그 농약에 유기 비소가 들어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땅이 비소에 오염되어 있다고 합니다.

걸프만 쌀 비소

현미에는 비소가 많이 축적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을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현미밥을 지을 때 꼭 이렇게 하세요.

비소에는 음이온이 3개 붙어 있는데 이것은 물에 잘 녹는 성질이 있습니다. 현미에 있는 중금속을 없애는 방법은 바로 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조금 뜨겁다고 생각되는 따뜻한 물(약 40도) 에 현미를 불립니다. 그러면 현미가 발아가 되면서 중금속을 내보내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물의 양은 많은 수록 좋습니다. 그런 후 현미를 씻을 때 약 5배의 따뜨한 물을 이용하여 현미를 씻어 냅니다.

이런 방식으로 따뜻한 물을 이용하면 현미에 있는 중금속을 걷어낼 수 있습니다.  

물에 불린 현미 중금속 제거

결론

한국 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안전한 편에 속하므로 비소 걱정 없이 드시면 됩니다. 수입 쌀 중에 걸프만 연안에서 생산된 텍사스산 쌀은 비소 함량이 높기 때문에 먹지 않도록 합니다. 물론, 한국에 사는 우리는 텍사스산 쌀을 구하는게 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현미로 밥을 짓기 전 따뜻한 물에 현미를 불린 후 따뜻한 대량의 물로 현미를 씻어내어, 비소를 제거해 현미밥을 지어 드시면, 건강하게 현미를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