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방법 은 무엇일까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식단 또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생활습관, 영양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닙니다. 콜레스테롤이 높아지는 기전에 대해 알아보고 의학적으로 어떤 약을 통해 이것을 바로 잡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콜레스테롤에 대한 이해
콜레스테롤은 기름입니다. 인체에 필요한 지방을 이야기 할 때는 콜레스테롤(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인지질(Phospholipids) 이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성분입니다. 또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만드는 작용을 합니다.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먹을 때 소화시킬 수 있는 담즙성분도 콜레스테롤에서 나옵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콜레스테롤은 이런 좋은 의미보다는 나쁜 의미로 쓰이고 있는 실정입니다.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증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지질단백질,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운반자를 지질단백질 Lipoprotein 이라고 합니다. 콜레스테롤은 물에 잘 녹지 않는 기름입니다. 혈액의 주성분은 수분입니다. 물에 잘 녹지 않는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이 운반자가 필요합니다.
지질단백질을 구성하는 성분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아포지단백질(Apolipoproteins) 입니다.
지질단백질은 대부분 중성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VLDL (Very low-density lipoprotein) 이 중성지방을 필요로 하는 세포에 지방을 전달하고 나면 중성지방이 점점 줄어들면서 LDL(low-density lipoprotein)이 됩니다. VLDL이 중성지방을 사용하고 나서 만들어 지는 것이 LDL 이기 때문에 중성지방이 없어지고 콜레스테롤만 남게 됩니다.
LDL이 바로 동맥경화증을 일으키는 주범입니다.
간에서 만들어진 LDL은 콜레스테롤이 필요한 세포에 콜레스테롤을 전달하고 남은 것은 다시 간으로 돌아가서 처리가 되어야 합니다. 간에는 LDL 수용체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LDL 수용체가 없는 사람은 혈중 LDL 농도가 너무 높아져서 콜레스테롤이 굉장히 높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젊은 나이에도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혈중 LDL 농도가 높으면 혈관 내벽에 침입해서 산화가 될 수 있습니다. LDL이 혈관내벽에 침투하면 대식세포가 이것을 잡아먹고 거품세포가 됩니다. 활성산소와 사이토카인을 만들어서 주위에 염증세포를 모이게 해서 염증반응이 생기게 됩니다. 이것이 동맥경화증이 일어나는 초기 증상입니다.
HDL (High-density lipoprotein) 은 중성지방은 거의 없고 콜레스테롤이 조금 있고 단백질이 대부분을 구성합니다. HDL은 조직에 남아도는 콜레스테롤을 회수하여 간으로 가지고 오는 역할을 합니다.
혈관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LDL은 낮추고 HDL을 올려야 합니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방법 (스타틴)
LDL은 VLDL에서 나온 것입니다. 따라서 VLDL의 합성을 줄이거나 간에서 LDL 수용체를 많이 만들게 되면 간이 LDL을 제거하는 효율이 올라가서 콜레스테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바로 스타틴 이라고 하는 약이 이러한 작용을 합니다.
스타틴을 먹게 되면 간에서 VLDL을 합성할 때 필요한 효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콜레스테롤 합성도 줄이고 간에 LDL 수용체를 늘려 콜레스테롤을 떨어트리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